한컴테크를 통해 한컴의 기술을 공유합니다. 한컴의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및 도구 등 다양한 기술을 만나보세요. 한컴 개발자들의 다양한 지식을 회사라는 울타리를 넘어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한컴이 제공하는 기술블로그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도전을 마주하고, 개발자가 꿈꾸는 미래를 실현하세요.

한컴테크

블로그

QA 업무 개선하기 (feat. 불편함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다)

이 글은 응용기술검증팀의 QA 업무 프로세스를 소개하고, AI 검증을 포함한 효율성 개선 방법을 다룹니다. LLM as a Judge 평가 방식을 활용해 AI 제품의 품질 검증을 고도화했으며, 마인드맵 도구를 도입해 테스트케이스 작성 시간을 단축했습니다. 또한, Summary-TC를 활용해 검증 범위를 표준화하고, Katalon Studio를 이용한 자동화를 통해 반복 작업을 최적화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슈의 중요도 및 보류 처리 기준을 명확히 정리하여 QA 프로세스를 더욱 체계적으로 개선한 방법을 설명합니다.

DeepSeek-R1 기술 분석

이 글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최신 언어 모델 DeepSeek-R1의 기술적 특징과 성능을 분석합니다. R1 모델은 기존 대형 AI 모델 대비 낮은 비용과 효율적인 학습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OpenAI의 o1과 비교할 만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API 비용을 95%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GRPO라는 새로운 강화학습 방식을 도입해 GPU 자원을 절감하고 학습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본 글에서는 DeepSeek-R1의 학습 과정, Distillation (지식 증류)을 통한 소형 모델 최적화, 그리고 한국어 적용 가능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상세히 살펴봅니다.

한/글 문서 파일 형식 : HWPX 포맷 구조 살펴보기

이 글은 개방형 문서 포맷인 HWPX의 구조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다룹니다. HWPX와 기존 HWP 포맷의 차이를 설명하며, HWPX 포맷의 주요 구성 요소와 각 파일의 역할을 분석합니다. HWPX 문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는 글입니다.

Xmind로 품질 검증 업무의 효율성 높이기

Xmind 마인드맵 도구를 사용하여 복잡한 프로젝트에서 테스트 케이스 관리를 효율적으로 개선한 사례를 다룹니다. 기존 엑셀 관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Xmind를 도입하고, 이를 통해 테스트 항목 간의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변경 사항을 유연하게 반영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Xmind를 활용한 업무 효율성 향상과 팀 내 협업 개선 사례를 공유하며, 도입 후 변화와 장점을 설명합니다.

WASI 표준화로 가능하게 되는 것들

들어서며 WebAssembly(이하 Wasm) 기술이 소개된 지 10년이 되어가면서 최근 웹 개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Wasm 모듈을 브라우저 외부에서 활용하기 위한 WASI 표준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ASI는 2019년 발표된 기술로 Wasm 하위 그룹 WASI.dev(https://wasi.dev/)에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WASI 소개 WebAssembly System Interface(WASI)는 W3C WebAssembly(Wasm)로 컴파일된 소프트웨어를 위한 시스템 인터페이스 표준 스펙입니다. WASI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Wasm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 외부에서 클라우드, 임베디드 장치까지 모든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 WASI는 Wasm 모듈이 File System, Networking, Time, Random 등의 시스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된 API를 제공합니다. Wasm과 WASI로 할 수 있는 것 크로스플랫폼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간의 코드 재사용 단일 환경으로 컨테이너화 WASI 표준화는 진행 중이기 때문에 현재 버전의 WASI로 모든 사례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Wasm 모듈이 WASI를 사용하는 방법 Wasm 모듈은 import 구문으로 표준화된 WASI API 바인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Hosts …

WASI 표준화로 가능하게 되는 것들 더 보기 »

WebAssembly(WASM) & WASI 2024 : 크로스플랫폼의 미래

한 줄 요약 #WebAssemnbly #Wasm #WASI #기술동향 📣 WebAssembly(Wasm) & WASI 2024 : 크로스플랫폼의 미래 1.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로도 개발 1.1. Wasm 기술 WebAssembly(이하 Wasm)는 2015년부터 JavaScript의 느린 속도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이 되었습니다. Wasm은 C, C++, JavaScript, Rust, Go, Python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저수준의 바이트코드로 컴파일하여 웹 브라우저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

WebAssembly(WASM) & WASI 2024 : 크로스플랫폼의 미래 더 보기 »

DevOps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전략

안녕하세요. 현재는 제품화개발팀에서 데이터 통계 사이트를 개발, 운영하는 12년 차 개발자 김수지입니다. 이전에는 Jira, Confluence, Gitlab, Jenkins 등 전반적인 개발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진행하였습니다. 각각의 시스템이 운영되면서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시스템 간의 연동을 하게 되면서 시스템 성능, 애플리케이션 배포, 인프라 상태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우리의 개발 시스템에 맞는 사이트가 필요하다고 …

DevOps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전략 더 보기 »

LLM 품질 테스팅 시작하기

안녕하세요. 오피스품질팀에서 한컴오피스 Web 및 한컴어시스턴트를 담당하는 7년 차 QA 엔지니어 이수동입니다. LLM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당 기술을 활용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우리 회사도 한컴어시스턴트, 한컴피디아 등 AI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제품 특성에 맞춘 자체 sLLM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LLM 및 sLLM(이하 (s)LLM)에 대한 자체 품질 평가가 필요해졌습니다. 품질보증실 내부에서는 별도 sLLM 테스팅 …

LLM 품질 테스팅 시작하기 더 보기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부제 : ‘2024 서울 프롬프톤’ 대회 참가

안녕하세요. 저는 한글과컴퓨터 인공지능연구개발팀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는 이민재입니다. 최근 생성형 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AI 활용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AI에게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시를 내려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는 기술로, 다양한 업무 자동화와 복잡한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반드시 익혀야 할 중요한 도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부제 : ‘2024 서울 프롬프톤’ 대회 참가 더 보기 »

Scroll to Top